본문 바로가기

죽음

(23)
창조신 이마나와 죽음에 관한 여러 이야기들 이마나Imana는 르완다와 부룬디에 살고 있는 바냐르완다족과 바룬디족, 탄잔니와와 콩고민주공화국에 살고 있는 바하족을 비롯한 여러 부족 신화의 창조신이다. 오늘날 이 용어는 신을 의미한다. 바냐르완다족과 바룬디족 신화에서 이마나는 창조신이자 수호신이었다. 이마나는 모든 생물을 지배했고 죽음으로 알려진 동물을 사냥함으로써 세상에서 죽음을 내쫓으려 했다. 이마나가 사냥을 하는 동안 모두들 죽음을 피하기 위해 숨으라는 말을 들었다. 그러나 어느 날 이미나가 사냥(‘죽음’으로 알려진 동물 사냥)을 하는 동안 한 노파가 채소밭으로 살금살금 걸어 들어갔다. 죽음은 재빨리 그녀의 치마 밑으로 숨었고 노파는 이 사실을 모른 채 집에 들어갔고 얼마 후 죽음을 맞이했다. 노파의 장례식이 끝나고 3일 후 노파를 미워했던 노..
칼룸바 신화, 세상에 죽음이 존재하게 된 이유 중부 아프리카의 콩고 민주 공화국(옛 자이르)에 살고 있는 룸바족 신화에서 칼룸바Kalumba는 세상에 죽음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자 했던 창조신이었다. 사실 칼룸바는 삶과 죽음이 곧 세상에 다가올 것임을 알고 있었다. 그의 계획은 길에 개와 염소를 세워놓고 죽음을 막되 생명은 지나가도록 놔 두겠다는 것이었다. 개와 염소는 이에 동의했지만 곧 지루해져서 말다툼을 하기 시작했다. 결국 염소는 자리를 떴고 개는 잠이 들었다. 이 때 더러운 빨래 더미로 위장한 죽음이 찾아왔고 끝내 잠든 개는 깨어나지 않았다. 이렇게 해서 죽음이 세상에 존재하게 되었다. 다음 날 염소가 원래 자리로 돌아왔다. 물론 염소는 죽음이 이미 세상에 왔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 이 때 생명이 길을 따라 걸어오고 있었다. 염소는 생명을 죽..
인간에게 분노한 아바시를 달래기 위해 아내가 내린 결정은? 아바시Abassi(또는 아바시Abasi, 아와시Awasi)는 나이지리아 에픽족, 이비비오족, 아낭족의 창조신이자 최고신이다. 에픽족과 아낭족 전통에서 아바시의 묘사는 이비비오족 신화의 영향을 받았다. 나이지리아 남동부로 이동해 그들의 공동체를 형성하기 전 두 부족은 이비비오족의 일부였다. 기독교 선교사들이 나이지리아에 도착한 이후 아바시는 기독교의 신 개념과 혼합되어 아바시 이봄Abassi Ibom(이비비오족과 에픽족 신화) 또는 아와시 이봄Awasi Ibom(아낭족 신화)으로 언급되었다. 물론 이런 해석은 현재까지도 논란 중이다. 어떤 신화 특히 아낭족 민속에서 아바시라는 이름은 아바시 이봄을 포함한 창조 신화에 관련된 다른 신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비시는 인간을 창조한 전지전능한 신이었다. ..
거인 오우오에 얽힌 죽음의 비밀 오우오Owuo는 오늘날 아프리카 서부 토고 공화국에 사는 크라치족 전통 종교에 등장하는 신화적 거인이다. 거인 오우오는 죽음을 상징하고 오우오 신화는 크라치족 신앙에 나타난 죽음의 기원을 묘사하고 있다. 오우오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그의 머리카락으로 그 길이가 토고의 크라치에서 가나의 살라가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오우오는 야만적이었지만 그렇다고 사악한 존재는 아니었다. 한 청년이 여행 중에 오우오를 마주쳤다고 한다. 그 당시에 세상은 기근이 만연했고 청년도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었다. 청년이 처음 오우오를 마주쳤을 때 그의 환영을 확신하지 못했다. 그러나 오우오는 청년을 공격하지 않았다. 대신 그는 청년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물었다. 청년은 너무 오랫동안 굶었다며 먹을 것을 부탁했다. 오우오는 청년의 ..
죽음을 영구화시킨 최초의 신, 아조크 아조크Ajok(또는 아디오크Adyok, 나이조크Naijok)는 로투코족[수단] 판테온의 최고신이자 창조신이다. 아조크가 선한 신이기는 하지만 사람들은 그의 선한 본성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는 기도와 희생을 해야 했다. 죽음의 기원에 관한 신화에서 부부싸움은 아조크로 하여금 죽음을 영구화시켰다. 부부의 아이는 죽었고 어머니는 아이를 살려 달라고 아조크에게 간청했다. 아이 어머니의 간곡한 부탁에 아조크는 아이를 부활시켰다. 하지만 그 여자의 남편은 이에 분노했고 아내를 꾸짖으며 다시 아이를 죽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인간을 불멸의 존재로 만들려고 했던 아조크는 다시는 누군가를 되살리는 일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맹세했다. 이 때부터 죽음의 개념이 완성됐다고 한다. 참고로 아조크는 자신의 형상대로 인간을 창조했..
창조신 그굴루가 죽음을 대지에 남겨 놓은 후 생긴 일 그굴루Ggulu(또는 무굴루Mugulu)는 우간다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하늘에 존재하는 만물의 창조자이다. 신화에 따르면 그굴루의 딸 남비Nambi는 우간다 신화 최초의 인간인 킨투Kintu를 보자마자 한 눈에 사랑에 빠지고 말았다. 하지만 킨투는 하늘로 올라가자는 남비의 제안을 거절했다. 물론 남비의 친척들 누구도 인간 킨투를 그녀의 배우자로 인정하지 않았다. 하지만 남비도 포기하지 않았다. 이에 그굴루는 킨투가 딸의 배우자로 적합한지 시험해 보기로 결심하고 아들을 시켜 킨투의 암소를 훔쳐 오도록 했다. 이 암소는 킨투의 유일한 영양 공급원이었다. 남비가 하늘에 암소가 있다며 킨투를 데리고 왔을 때 그굴루는 킨투에게 백 명 분의 식사를 준비해 먹도록 했다. 킨투는 이 음식들을 모두 먹지 못할 경..
해마다 죽었다 살아나는 신, 두무지 메소포타미아 목자와 식물의 신 두무지(Dumuzi)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올바른 아들’이라는 뜻으로 바빌로니아와 히브리 신화에서는 탐무즈(Tammuz)라고 불렀다. 두무지는 수메르 고대 도시 슈르팍(현재 텔 파라)에서 발견된 토판에 처음 등장한다. 두무지의 어머니는 천상의 용으로 알려졌다. 고대 수메르 왕 목록에는 두 명의 두무지가 언급되어 있는데 하나는 ‘양치기’로써 나중에 왕이 되었다. 다른 하나는 ‘어부’로써 우룩의 통치자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왕들에 대한 더 이상의 역사적 언급은 없다. 신으로써 두무지는 라가쉬와 우룩 사이에 있는 쿨라바(Kullaba)와 바드티비라(Babtibira)의 수호신이었다.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농업의 중요성 때문에 기원전 4천년 경부터 풍요의 신에 대한 숭..
아푸치, 마야인들이 장례식에서 통곡한 이유 아푸치(Ah Puch)는 마야 신화에서 죽음과 관련되어 있는 신이다. 즉 아푸치는 죽음과 어둠과 재앙의 신이다. 반면 아푸치는 출산과 시작의 신이기도 했다. 키체 마야인들은 죽음의 신 아푸치가 지하세계의 최하층 아홉 번째 세계인 미트날(Mitnal)를 지배하고 있다고 믿었다. 참고로 마야 신화에서 미트날은 영원한 추위와 어둠의 세계로 마야인들은 이승에서 악행을 저지르면 죽어서 이곳에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과테말라 고지대의 유카텍 마야인들은 미트날을 시발바(Xibalba)라고 불렀다. 마야인들이 그리고 있는 아푸치의 모습은 돌출된 갈비뼈를 가지고 있는 해골이거나 부패하고 부은 시체의 두개골이었다. 특히 아푸치는 밤에만 활동하는 올빼미와 관련이 있어서 올빼미 머리를 한 해골의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