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리우스

(5)
가장 밝은 별 시리우스를 의인화한 다산의 여신 소프데트 이집트 신화에서 소프데트(Sopdet. 또는 소티스)는 개별 시리우스를 의인화한 신이었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별이었으며 1년 중 70일 동안 이집트 밤하늘에서 보이지 않다가 동쪽에서 다시 볼 수 있게 되는데 이 날이 바로 고대 이집트의 새해였다. 이집트 새해는 현재 달력으로는 7월 중순에 해당하는데 이 때는 또 나일강이 범람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했다. 즉 소프데트는 나일강 범람을 주관하는 다산의 여신이었다. 그녀는 또한 파라오와 그의 사후세계 여행과도 연결되어 있었다. 그녀는 제르왕(Djer. 기원전 3천년경. 고대 이집트 제31왕조의 세 번째 파라오)의 상아판에 묘사된 대로 머리 장식 위에 별이 여성 또는 뿔 사이에 식물이 꽂힌 앉아있는 암소로 표현..
시리우스를 사랑한 수확의 여신, 오포라 그리스 신화에서 오포라(Opora, ‘가을’, ‘열매’라는 뜻)는 수확 특히 포도주 수확과 계절 가을과 관련된 버금 신이다. 그녀는 별의 신 시리우스와의 로맨스를 중심으로 한 잘 알려지지 않은 신화에 등장하지만 거의 무명에 가까운 여신이다. 고대 그리스 명사 오포라는 시리우스 별과 아르크투루스 별이 떠오르는 사이의 일년 중 일부를 의미한다. 즉 7월 말, 8월 전체, 여름이 끝나는 9월 일부를 나타낸다. 시간이 흐르면서 늦여름과 가을을 의미하게 되었다. 과일이 맺는 시기를 확장하여 사용하면 과일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비유적으로는 여름에 피는 꽃을 상징할 수도 있다. 그녀의 혈통은 현존하는 어떤 텍스트에도 명시되어 있지 않다. 오포라는 아테네 희극작가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평화에서 테오리아(축제 대표단..
물의 신 놈모의 삶의 원천은 인간이었다 서아프리카 말리에 거주하는 도곤족 종교와 우주론에서 놈모(Nommo 또는 눔모)는 태초의 조상신이자 물의 신이다. 때로는 반신반인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놈모라는 단어는 ‘한 잔의 음료를 만들다’를 의미하는 도곤족 말에서 파생되었다. 놈모는 일반적으로 양서류, 자웅동체, 물고기와 같은 생물로 묘사된다. 놈모는 ‘물의 주인’, ‘감시자’, ‘가르치는 자’라고도 한다. 놈모는 특정 정령의 고유명사일 수도 있고 정령 무리 전체를 지칭할 수도 있다. 도곤족 종교와 창조 신화에 따르며 놈모는 하늘의 신 암마가 창조한 최초의 생명체였다. 놈모는 창조 직후 변신을 거쳐 네 쌍둥이를 낳았다. 어느 날 쌍둥이 중 하나가 암마가 만든 우주 질서에 반기를 들었다. 암마는 자신의 창조물에 대한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또 다른 놈..
은하수는 코요테가 훔친 장물? 하스체지니 하스체지니(Hastsezini)는 나바호 인디언들이 숭배하는 불의 신이다. 하스체지니는 항상 검은색을한 신체로 그려진다. 불의 발명자이면서 불 송곳과 불 판자의 발명자이기도 하다. 매우 은둔적이며 다른 신들과도 떨어져 지내는 특징이 있다고 한다. 나바호 인디언들이 별들을 하늘의 불꽃으로 여겼고 또 하스체지니가 그 별들을 정렬했다고 믿었다. 또 다른 구전에 의하면 북미 신화의 대표적인 트릭스터인 코요테가 도움을 요청했을 때 하스체지니는 주머니에서 별을 뽑아 하늘에 정렬시키고 있었다. ▲나바호 인디언들의 불의 신 하스체지니. 출처>구글 검색 결국 하스체지니는 코요테의 요구를 거절했고 퇴짜를 맞은 신들은 불의 신 하스체지니가 하던 일을 끝마칠 때까지 기다렸다가 그의 별 주머니를 뒤졌다. 하지만 주머니에는 먼지..
오리온, 오줌에서 태어나 별이 된 거인 밤 하늘을 바라볼 때마다 실망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 어릴 적 보았던 밤 하늘이 아니어서다. 금방이라도 쏟아질 듯 밤 하늘을 가득 채운 별들은 어릴 적 꿈의 대명사였다. 황사니 미세먼지니 해서 요즘 밤 하늘은 달만 덩그러니 떠 있고 별은 좀체 보이질 않는다. 도시의 밤 하늘은 더더욱 그렇다. 인류가 가장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온 자연의 대상이 바로 밤 하늘의 별이다. 별을 바라보며 운명을 점쳤고 먼 바다의 여행자에게는 별이 길라잡이 역할을 했다. 또 별을 보며 변치 않을 우정을, 사랑을 약속한다. 수만 년의 인류 역사에서 수많은 변화가 있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별만큼은 예나 지금이나 그대로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나마 겨울은 별을 많이 볼 수 있는 계절이다. 밤이 길어서이기도 하겠지만 겨울이 차고 건조한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