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난 이대

(2)
한국인의 용기와 역량을 드러낸 소설 하근찬(1931년~2007년)의 /1957년 으로 유명한 중국의 소설가 모옌(본명은 관모예, 1955년~)은 이 소설을 두고 "부자(父子)가 서로 합치면 하나의 온전한 사람이 된다는 생각은 전쟁의 폐허에서 일어나 정신과 물질 면에서 모두 성공적인 한마당을 복구해낸 한국 인민의 용기와 역량을 드러낸다."는 감상평을 남겼다. 모옌은 일제의 강제침탈과 연이은 한국전쟁이라는 재앙을 딛고 짧은 시간 안에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을 이룩한 한국을 한 쪽 팔이 없는 아버지가 한 쪽 다리가 없는 아들을 업고 외나무다리를 건너는 이 소설 속 마지막 장면에서 발견했는가보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읽어봤을 하근찬의 소설 의 마지막 장면은 이 대에 걸친 가족의 수난사(史)를 비극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살아가야 할 미래에 대한 희망을..
분단이 잉태한 또 하나의 수난 이대 이원규의 /1987년 이원규의 소설 을 읽다보면 자연스레 하근찬의 소설 (1957년)를 떠올리게 된다. 일제 강점기 말기 징용에 나가 한쪽 팔을 잃은 아버지 만도, 만도의 아들 진수는 한국전쟁에서 한 쪽 다리를 잃게 된다. 외나무 다리에서 만도가 아들 진수를 업고 건너는 마지막 대목에서는 서로의 팔과 다리가 되어 살아갈 수 밖에 없는 부자의 현실에 가슴 찡한 감동이 몰려온다. 가 수난의 원인이 전쟁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서로 다른 시대에 의한 피해자들인데 반해 은 고착화된 분단이 만들어낸 비극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그 비극이 대물림된다는 점에서 와는 또 다른 형태의 비극을 보게 된다. 2011년 12월25일 광주고법에서는 의미있는 재판이 열리고 있었다. 납북 어부 간첩사건에 연루돼 국가보안법 위반 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