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친일파

(8)
악질 친일파가 한국 대표 여성 시인으로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vs 지원병(志願兵)에게/모윤숙(1910~1990) -나는 광주 산골을 헤매다가 문득 혼자 죽어 넘어진 국군을 만난다- 산 옆 외따른 골짜기에/혼자 누워 있는 국군을 본다/아무말, 아무 움직임 없이/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런 유니폼,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표지/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 소위였고나/가숨에선 아직도 더운 피가 뿜어 나온다. 장미 냄새보다 더 깊은 피의 향기여!/엎드려 그 젊은 주검을 통곡하며/나는 듣노라! 그대가 주고간 마지막 말을. 나는 죽었노라, 스물 다섯 젊은 나이에/대한민국의 아들로 나는 숨을 마치였노라./질식하는 구름과 바람이 미처 날뛰는 조국의/산맥을 지키다가/드디어 드디어 나는 숨지었노라. -중략- 이 원수의 운명을 파괴하라, 내 친구여!/그..
모가지가 길어 슬픈 짐승은 친일파 사슴 일요일은 포스팅을 쉬고 이웃 블로거들 마실 다니는 것도 즐거움이라면 즐거움이다. 인터넷 검색도 하고 즐겨찾기 돼 있는 인터넷 신문도 열독해 보고 요즘은 거의 없어졌지만 좋아하는 개그나 코미디 프로그램도 케이블로 시청하면서 일주일의 피로를 푼다. 사실 일요일 저녁에 출근해야되니 온전한 휴식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그래도 일요일은 일요일이다. 그렇다고 일요일이 늘 편안한 것만은 아니다. 인터넷 검색을 하다 '시인 100인이 추천하는 시'라고 해서 들어가봤는데 확 짜증이 밀려온다. 일단 한 번 감상해 보시라. 해석에 따라서는 나라 잃은 민족의 아픔을 노래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 노천명의 이라는 시다. '시인 100인이 추천하는 시'.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들이 애송하는 시'라는 타이틀로 교과서 뿐만 아니라..
민족문제연구소가 추천하는 아이와 함께 보는 동화책 고정욱 글, 박재현 그림의 /2012년/맹&앵 출판사 "친일작가의 이름을 붙여놓은 문학관은 그 자체로서 친일작가를 기념하는 사업이 됨으로 문학관의 운영 내용을 떠나 친일작가의 이름을 딴 문학관 명칭은 근본적으로 용인될 수 없는 일이다....그의 친일작품이 뜨거운 논쟁거리가 된 것은 기념사업이 빌미가 되긴 했지만 논쟁의 핵심은 친일행위가 명백한 친일작가에게 시민의 혈세로 그를 기념하고 기릴 수는 없으며 그런 일은 국가의 정체성에도 국민의 정서에도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 -친일작가 이원수 기념사업 저지 창원시민대책위원회 성명 중에서- 작년부터 경상남도 창원에서는 한 동화작가의 문학관 건립을 두고 뜨거운 논쟁이 일고 있다. 언론을 통해 바라본 이 논쟁이 씁쓸한 이유는 문학관 건립을 찬성하는 단체건 반대하는..
지리산 뻐꾸기가 평생 간직한 회중시계의 비밀 문순태의 /1988년 인터넷 서점을 뒤져봐도 인터넷을 검색해 봐도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었던 책이 마치 운명이었던 것마냥 어느날 책장 깊숙한 곳에서 아무렇게나 누워서 나에게 추파를 던지고 있다. 휴지가 밀리지도 않을만큼 묵은 먼지가 쌓인 책표지는 세정제를 동원하고서야 비로소 제 빛을 찾는다. 누렇게 바랜 책장을 넘길 때마다 세월에 익을대로 익은 캐캐한 냄새가 코를 자극한다. 기억 저 편으로 사라졌던 깨알같은 글자들이 흑백필름 돌아가듯 하나 둘 추억을 끄집어낸다. 고등학교 시절 교과서가 다가 아니라는 철없는(?) 생각에 친구들과 의기투합해 샀던 그 책, 문순태의 는 20년을 훌쩍 넘은 시간동안 나를 지켜보고 있었던 것이다. 책 표지에 실린 작가의 젊었을 적 사진은 초로의 노인이 되어 인터넷 속에 남아있을 뿐..
공공도서관은 친일파를 싫어한다? 민족문제연구소의 /2009년 이명박 정부가 이제는 공공연하게 '멍청한 정부'로 낙인찍혀 버렸다. 그것도 이명박 정부 텃밭에서 말이다. MB정권 탄생의 일등주역이라 할 수 있는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은 지난 4월5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독립유공자 19명에 대한 서훈 취소 명단에 장지연이 포함된 것을 두고 '이 정권을 언필칭 보수정권이라고 하고 또 실제로 보수·우파 세력의 지지로 권력을 담임한 정부임에도 불구하고 하는 일들을 보면 좋게 말해서 '실용'이고, 실제로는 이쪽도 저쪽도 아닌 '기회주의적' 집단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며 철학이 없는 정부로 규정했다. '시일야방성대곡'으로 유명한 장지연은 2009년 11월8일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에 수록된 인물로 독립운동을 했다는 초기와 달리 말년에는 일본 천황을..
판타지로 읽는 어느 아나키스트의 꿈 신채호(1880~1936)의 /1928년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쳤던 독립운동가의 후손들이 이 땅에서 자부심을 갖는다는 것은 사치일 뿐이다" 조국의 독립을 위해 평생을 헌신했던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 선생의 며느리 이덕남씨가 친일파 후손들이 조상땅 찾기 소송에서 잇따라 승소하고 있는 현실과 반대로 남편은 독립운동가인 아버지 신채호 선생의 아들임을 밝히기 위해 기나긴 법정투쟁을 벌여야만 했던 현실을 개탄하며 한 말이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조국이 광복된 지 64년이나 지난 2009년에야 대한민국 국적을 회복했다. 앞서 1986년 호적을 취득했다. 독립운동가 후손이라는 자부심에 살았어야 할 신채호 선생 후손이 자부심 대신 사치를 얘기한 현실에 가슴 아플 뿐이다. 20세기 초 1,2차 세계대전..
김동인의 <배따라기> 아내와 동생의 불륜? 그는 왜 배따라기를 불렀을까? 김동인/배따라기/1921년 '그댄 봄비를 무척 좋아하나요, 나는요 비가 오면 추억 속에 잠겨요...'로 시작하는 노래가 있었다. 1인 프로젝트 그룹 배따라기의 이다. 배따라기의 유일한 멤버는 이혜민이다. 왜 하필 그는 1인 프로젝트 그룹 이름을 '배따라기'라 했을까? 가수 이혜민은 몰라도 그가 만든 꽤 유명한 대중가요들을 보면서 나는 스스로 이 의문을 해결했다. , , , , , , ...가수라는 직업적 의미와 사랑을 갈구하는 그리움이 표현된 가사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그룹명이다. '배따라기'는 평안도 민요의 하나로 '배를 떠나 보내며 부르는 노래'라는 의미라고 한다. 원래 배따라기는 전국 해안 지방마다 널리 퍼져있어 뱃사람들의 고달픈 생활을 노래했다..
혈의 누, 이인직 그는 뼛속까지 일본인이었다 이인직(1862~1916)의 /「만세보」연재(1906.7.22~10.10) 신소설이라고 하면 20세기 초에 등장한 고대소설과 현대소설의 가교 역할을 했던 소설을 총칭해서 이르는 말이다. 최근에 논란이 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최초의 신소설로 이인직의 [혈의 누]를 꼽고 있다. 그러나 뼛 속까지 일본인이었던 그를 우리는 ‘신소설의 선구자’ 정도로만 알아왔다. 추억해 보건데 최소 고등학교 시절까지 우리는 이인직을 개화사상과 자유연애를 소설로 설파한 위대한 개화사상가로 배워왔다. 어쩌면 해방 65주년을 앞둔 오늘까지 제대로 된 친일청산이 이루어지지 않은 가운데 그의 친일행보가 문학사적 업적에 가려져 있는지도 모른다. 아니 우리사회가 덮어주고 있는지도 모른다. 일본인이고자 했던 이인직의 사상이 가장 짙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