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간토마키아

(3)
토성의 위성 미마스와 거인족 미마스 토성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 미마스(Mimas)는 1789년 9월 17일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처음 발견했다. 1980년 보이저 1호와 2호가 직접 촬영하기 전까지 천문학자들에게 미마스는 작은 점에 불과했다. 시간이 흘러 2017년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촬영한 미마스 사진에는 거대한 멍자국이 있어 더욱 관심을 끌었다. 그 멍자국은 바로 크레이터로 오래전 다른 천체와의 충돌로 생긴 패인 자국을 말한다. 미마스의 지름이 396km인데 가장 큰 크레이터의 폭이 무려 130km에 달한다고 하니 충돌 당시 충격이 얼마나 컸을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 흥미로운 사실은 미마스 모양이 구형이라는 것이다. 천문학자들에 따르며 천체 지름이 최소 500km는 넘어야 자체 중력으로 공 모양이 된다고..
가장 위대한 기간테스, 알키오네우스 그리스 신화에서 알키오네우스Alcyoneus는 영웅 헤라클레스의 적수로 더 잘 알려져 있었다. 그는 보통 거세한 하늘의 신 우라노스의 피와 대지의 여신 가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기간테스 중 하나였다. 기원전 2세기 경 활동했던 고대 그리스의 문법학자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알키오네우스와 헤라클레스의 대결은 올림포스 신들과 거인들간의 우주 전쟁인 기간토마키아의 일부였다. 또 알키오네우스와 포르피리온은 가장 위대한 기간테스였으며 자신의 땅에 있는 한 알키오네우스는 불멸의 존재였다. 헤라클레스가 화살로 알키오네우스를 쓰러뜨렸지만 그는 다시 살아났다. 헤라클레스는 아테나의 조언에 따라 알키오네우스를 그의 땅에서 끌어냈다. 그의 땅을 벗어난 순간 알키오네우스는 곧바로 죽음에 이르렀다고 한다. 기원전 5세기 경 그리스..
제우스의 여신들④ 므네모시네, 기억의 두 얼굴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문장이다. 일상에서도 많이 사용하지만 개그 소재로써의 이 말은 국회 청문회의 단골손님이다. 결국에는 다양한 정황이나 물적 증거로 인해 진실이 밝혀지기는 하지만 청문회 증인 입장에서는 위증죄를 벗어나기 위해 이만한 발언은 없을 것이다. 박근혜 게이트 피의자나 증인들의 청문회나 법원, 헌법재판소 심문 과정에서 보았듯이 기억Memory은 그렇게 개인의 편의에 의해 재생되기도 하고 망각되기도 한다. 즉 필요에 의해 불러내기도 하고 왜곡시킬 수도 있는 것이 기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의 모든 지적 활동과 진보는 기억 능력을 토대로 발전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생명과학대사전에 따르면 기억의 사전적 의미는 인상, 지각, 관념 등을 불러 일으키는 정신기능의 총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