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날 포스팅/북 리뷰

우리가 사는 곳은 어쩌면 세상 끝 정육점

반응형

마지막 정육점/김도연 지음/문학동네 펴냄

 

삶과 죽음이 그렇게 가까이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삶과 죽음이 그토록 확연하게 구별된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 삶과 죽음이 만나면 한쪽은 침묵하고 한쪽은 통곡을 불러온다는 사실도 처음인 것처럼 선연했다. 삶과 죽음 앞에서 어떤 사람들은 아예 기가 막혀 말도 못 꺼낸다는 점도 처음 알았다. 지금껏 옥자에게 다른 사람의 죽음은 그렇게 멀리 있었다. 그런데 그 죽음 속에 자신이 있었고 또다른 이들의 죽음을 자신이 죽고 나서야 비로소 볼 수 있었다. -본문 중에서-

유폐된 개인과 그 고독이 빚어내는 길 잃은 꿈으로 삶의 지리멸렬함에 균열을 내왔던 작가 김도연의 다섯번째 장편소설이 출간되었다. 그는 “‘꿈같은 현실’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현실 같은 꿈’”을 드러내는 것이 그의 환상을 특별하게 만든다는 평(이경재, 문학평론가)을 들은 바 있다. 이번 작품에서 그 독특함은 거스를 수 없는 시간의 흐름을 자유자재로 변주함으로써 삶과 죽음의 경계를 뛰어넘는다. 그가 택한 공간은 오대산 월정사와 사하촌의 정육점이다. 그의 ‘현실 같은 꿈’에서 인간세상이란 배 가른 돼지들을 갈고리에 널어놓은 정육점과 같다.

 

▲마지막 정육점 


결혼식 다음날 교통사고를 당한 도식과 옥자는 살았는지 죽었는지 알 수 없는 상태로 약 반세기에 걸친 과거, 현재, 미래의 시공간을 넘나들며 십일 일간의 환상적인 신혼여행을 한다. 그들은 부모가 살았던 한국전쟁 이후의 혼란스러운 풍경과 어린 시절 풍문으로 들었던 역사의 비극적 현장을 생생히 체험하며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제멋대로의 시공간에 떠밀려 다닌다. 그들은 자신들이 왜 제대로 죽지 못하고 여기에 있는지, 왜 이런 장면들을 보고 있는지, 우리는 과연 무얼 할 수 있는지 묻는다. 그것은 곧 작가가 독자인 우리에게 던지는 화두일 것이다.

영혼 상태인 도식과 옥자는 여행 도중 만난 사람들에게 말을 걸거나 행동하며 사건에 참여할 수 있는 때도 있는가 하면, 눈앞에 벌어지는 끔찍한 고문 장면에 아무런 힘도 쓰지 못하고 고통스럽게 바라만 보기도 한다. 작가 김도연은 80년대 말, 토요일의 디스코텍과 군부독재시절 대공분실을 한데 겹쳐놓으며, 평화로워 보이는 지금-여기의 삶이 비극에 울퉁불퉁 덧칠한 눈가림에 불과할지도 모른다는 통찰을 뛰어난 문학적 상상력으로 보여준다. 죽음과 그에 맞서는 강렬한 동물적인 호기심, 그 분출하는 생명력이 도식과 옥자의 우스꽝스럽기까지 한 성에 대한 탐닉으로 이어지며 무게감 있는 서사의 한 축과 절묘한 짝패를 이룬다.


죽었으나 죽지 않은 상태로 세상을 떠돌며 여행하는 도식과 옥자 부부, 이야기의 마지막 장을 덮으면 제대로 된 죽음을 살아야 한다는 역설이 무슨 의미인지 알게 될 것이다. 한바탕 뿌듯한 꿈을 꾼 듯한 해방감을 주는 소설.

절 아래에서 오래 살았다. 절은 신비로운 공간이다. 밤과 낮을 가리지 않고 틈만 나면 절간을 기웃거렸다. 어떨 때는 미궁처럼 느껴지기도 했고 또 어떨 때는 어머니의 품처럼 따스하기도 했다. 절의 일주문을 통해 나오는 이야기도 흥미로웠지만 사실 어두운 수챗구멍으로 졸졸 흘러나오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 적이 더 많았다. 햇볕 쨍쨍한 어느 날 술에 취한 나는 절간의 돌계단에 앉아 오고가는 스님들을 바라보았다. 저들은 왜 부모형제가 있는 집을 떠나 멀고먼 이 산골짜기로 들어와 머리를 밀고 잿빛 승복을 입은 채 살아가고 있는 걸까. 왜 탑을 돌고, 종을 치고, 법당에 앉아 목탁을 두드리는 것일까. 무엇을 찾으려고…… ‘작가의 말’ 중에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중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