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날 포스팅/따따부따

호박잎에 싸오는 붕어곰

반응형

 

 

▲ 휴전선 철책. 사진>한국경제 

 

"거기에 마음이 없어요."

"아, 안경을 하겠단 말이에요?"

"예, 쌩합니다."

 

도대체 무슨 대화 내용인지 몰라 고개만 갸우뚱 갸우뚱 할 것이다. '쌩'은 지역에 따라 '거짓말 하다'로 쓰이기도 하고, '상대방의 말을 무시하다'라는 뜻을 의미하기도 하는 속어다. 그러나 이 속어의 뜻을 아무리 짜집기해도 위의 대화 내용이 제대로 완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쌩하다'는 '생긴 모습이 아주 멋지다'라는 북한의 표준어다. 북한 드라마에 나오는 일상대화를 소재로 분단의 세월만큼이나 점점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남북의 언어 차이를 보도한 KBS 뉴스의 한토막이다. 뉴스에 따르면 평양 시민의 일상대화를 우리가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남한에서 부르는 말을 북한에서는 전혀 알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같은 '오징어'라는 단어를 두고 남한에서는 '오징어'지만 북한에서는 '낙지'로 부른다고 한다. 또 '양배추'를 북한에서는 '가두배추'라고 부른다고 한다. 특히 탈북자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외래어인데 '뮤지컬'을 북한에서는 '가무이야기'로 '도넛'을 '가락지빵'으로 부르기 때문에 말 자체가 무슨 뜻인지 전혀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잘못된 표준어 정책으로 아름다운 방언들이 사라지고 있는 현실에서 남과북 서로에게 이질적인 언어로 변해가는 우리 말과 글은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이후 가장 큰 고난의 시기를 겪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정부에서는 남북의 언어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겨레말 큰사전' 편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대결 구도가 고착화되어가고 있는 현 상황을 볼 때 결코 녹녹치 않은 사업이 될 게 불보듯 뻔하다.

 

매일 만나도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기 어려운 판에 나와 견해가 다른 불특정 다수를 향해 '종북'이라는 주홍글씨를 각인시키고 있는 현실은 한반도의 허리를 싹둑 잘라버린 철책만큼이나 적막하고 절망적이다. 심지어 남북한 교류를 위한 정책이나 주장마저 '종북'으로 매도당하고 있는 현실이고 보면 정부가 추진중이라는 '겨레말 큰사전'도 말뿐인 정책으로 끝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문학과 문학인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는 때이기도 하다.

  


 

백석시어

출처: 경향신문 2013년 11월12일/칼럼/안도현의 발견

 

백석의 시를 눈치 보지 않고 읽을 수 있게 된 것은 1987년이었다. 영남대 이동순 교수가 <백석시전집>(창비)을 엮어낸 것이다. 이 시집은 독자들의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1988년 공식적인 해금조처를 발표하기 1년 전이었기에 더욱 그랬다. 우리는 평안도 방언을 주축으로 하는 낯선 북방언어와 대면하게 되었다. 그 이후에도 추가로 발굴된 백석의 시와 산문들이 여럿 출간되었다. 원광대 김재용 교수가 엮은 <백석전집>(실천문학사)은 수필·평론·소설뿐만 아니라 해방 후 백석이 북한에서 발표한 작품들을 총망라하고 있다. 백석 시의 원본과 함께 정본을 수록한 책은 고려대 고형진 교수의 <정본백석시집>(문학동네)이다. 여기서 정본이란 방언을 살리면서 오자와 탈자를 고쳐 읽기 편하게 표기를 바로잡은 것.

 

백석 시집에는 시어에 대한 설명이 각주로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친절한 것까지는 좋은데 오류도 몇몇 눈에 띈다. 평북 방언의 해석이 빗나간 것이다. ‘주막’이라는 시에 나오는 “호박닢에 싸오는 붕어곰”은 붕어를 오래 곤 국이 아니다. 북한에서는 ‘찜’을 ‘곰’이라고 한다. ‘박각시 오는 저녁’이라는 시에 ‘바가지꽃’은 박꽃이 맞지만 ‘흰 바람벽이 있어’에 등장하는 ‘바구지꽃’과 같지 않다. 바구지꽃은 미나리아재비꽃을 말한다.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에는 ‘달재 생선’이 나오는데 ‘달강어’라는 해설이 따라다닌다. 그러면 어물전에서 보기 어렵다. ‘장대’라고 해야 쉽게 찾는다.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공급할 뿐이며,  그것을 자기 것이 되게 하는 것은 사색의 힘이다"

반응형